반응형 독재자/유럽21 리투아니아의 쿠데타 안타나스 스메토나 리투아니아의 독립전쟁의 영웅이자 쿠데타를 일으켜 독재자가 된 안타나스 스메토나 초기 삶과 독립 영웅시절 안타나스 스메토나는 1874년 8월 10일 리투아니아의 우크메르케 마을에서 태어났습니다. 그는 러시아 제국 내에서 교육을 받았으며, 청소년 시절부터 국가주의와 민족주의에 대한 강한 관심을 보였습니다. 이러한 이념은 그가 나중에 리투아니아의 정치 무대에 진출하게 된 원동력 중 하나가 되었습니다. 독립운동가로서의 역할 스메토나는 리투아니아의 독립 운동인 "리투아니아인들의 밤"에 참여하여 국가의 자립을 위한 투쟁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였습니다. 그의 열정과 지도력은 그를 리투아니아 정치의 선두주자로 떠올리게 되었습니다. 리투아니아 공화국의 선언과 대통령 1918년, 리투아니아가 폴란드와 러시아 제국으로부터 독.. 2024. 3. 13. 튤립의 독재자 안톤 뮈세르트 네덜란드의 총통으로 불리는 독재자이자 네덜란드 국가사회주의 운동 NSB의 당수이자 창립자인 안톤 뮈세르트. 초기 생애와 정치적 시작 안톤 아드리안 뮈세르트는 1894년 5월 11일 네덜란드의 베르켄담에서 태어났다. 아버지는 계약업자로 일하는 평범한 가정이었다. 뮈세르트는 1920년대 네덜란드의 다양한 민족주의 및 우익 단체에 참여하면서 정치에 입문했다. 처음에는 네덜란드 파시스트 연맹에 소속되어 활동하던 무서트는 1931년 자신의 정당인 네덜란드 국가사회주의당(NSB)을 창당하였고 당수로써 활동하게 된다. 네덜란드의 국가 사회주의 운동 NSB는 아돌프 히틀러의 나치 독일의 부상에서 영감을 얻은 극우, 민족주의, 파시즘 정당이었다. 뮈세르트의 당은 권위주의적 통치, 반유대주의, 인종적으로 동질적인 네덜란드.. 2024. 2. 10. 알바니아의 공산주의 독재자 엔베르 호샤 알바니아를 1944년부터 1985년 까지 40년간 통치하며 공산주의와 고립, 억압으로 독재한 엔베르 호샤 어린 시절과 교육 1908년 10월 16일 알바니아의 그림 같은 도시 지로카스테르에서 태어난 엔베르 호샤의 일대기는 20세기 초에 시작되었다. 1930년대 프랑스와 벨기에에서 공부한 후 알바니아로 돌아온 그는 마르크스-레닌주의 이데올로기에 깊은 영향을 받았다. 이 유학 기간은 그의 정치적 신념을 형성하고 조국의 운명을 결정짓는 미래의 토대가 되게된다. 제2차 세계 대전과 권력의 부상 제2차 세계대전의 도가니 속에서 호샤는 알바니아에서 이탈리아와 독일 점령군에 대항하는 저항군을 이끌 수 있는 기회를 얻게 되었습니다. 그의 노력은 알바니아 해방에 중추적인 역할을 했고, 1944년 호샤는 총리에 취임했습니.. 2023. 11. 19. 갈색의 배후자 마르틴 보어만 히틀러의 비서이자 나치당의 비선실세로 군림했던 마르틴 루트비히 보어만 어린 시절과 권력의 부상 1900년 6월 17일 독일 베겔벤에서 태어난 마르틴 보르만의 어린 시절은 평범했다. 하지만 나치당으로 알려진 독일 국가사회주의 노동자당에 소속된 것이 그를 권력의 핵심으로 이끌게 된다. 1920년대 초에 당에 가입한 그는 변함없는 충성심과 조직력을 바탕으로 빠르게 계급을 상승시켰다. 보르만의 급격한 상승세는 아돌프 히틀러의 눈에 띄어 그를 개인 비서로 임명하면서 시작되었다. 왕좌 뒤의 권력 히틀러의 개인 비서로서 보르만은 총통과 독보적인 접근 권한을 가졌고, 총통의 서신을 관리하는 중요한 임무를 맡게 되었다. 겉으로 보기에는 행정적인 역할이었지만 그가 나치당 내에서 행사한 막강한 영향력은 숨겨져 있었다. 19.. 2023. 11. 5. 소련의 창시자 레닌 러시아제국을 무너트린 혁명가이자 소련을 건국한 독재자 블라디미르 레닌 초기 생애와 교육 레닌으로 알려진 블라디미르 일리치 율야노프는 중산층 출신으로 카잔 대학교에서 법학 교육을 받았다. 하지만 러시아의 독재적이고 억압적인 정권을 변화시키려는 혁명 활동에 참여하면서 그의 삶은 극적인 전환을 맞이하게 된다. 러시아 혁명 레닌이 명성을 얻게 된 것은 러시아 사회민주노동당의 한 분파인 볼셰비키당 내에서의 리더십 덕분이었다. 1917년, 그는 임시정부를 무너뜨리고 소비에트 시대의 시작을 알린 역사적인 사건인 10월 혁명에서 볼셰비키를 이끌었다. 이 혁명은 세계사의 흐름을 결정짓는 전환점이 되었다. 볼셰비키 당의 지도자 레닌의 지도 아래 볼셰비키당은 공산주의 원칙에 입각한 정부를 수립했다. 레닌은 인민 위원회의 의.. 2023. 10. 25. 포르투갈의 학자 출신 독재자 살라자르 1932년부터 1968년까지 거의 40년 동안 포르투갈 총리를 역임하였고 권위주의적 정권을 수립하여 포르투갈을 통치한 안토니우 데 올리베이라 살라자르(1889-1970) 어린 시절과 교육 살라자르는 1889년 포르투갈의 비메이루에서 태어났습니다. 그는 평범한 가정에서 태어나 학계에서 경력을 쌓았다. 포르투갈에서 경제학과 금융학을 공부한 후 코임브라 대학교에서 공부하여 나중에 저명있는 경제학 교수가 되었다. 경제 이론 살라자르는 유능한 경제학자이자 금융 전문가로 명성을 쌓았습니다. 1928년 재무부 장관으로 임명되기 전까지 포르투갈 정부 내에서 다양한 직책을 맡았다. 군사정권의 재무부 장관으로 재직하면서 경제 위기 기간 동안 국가 재정을 안정시키기 위해 긴축 정책을 시행했고 성공적으로 포르투칼의 경제를 성.. 2023. 10. 20. 발칸의 도살자 안테 파벨리치 크로아티아의 정치인이자 제2차 세계대전 중 활동한 크로아티아 파시스트이자 초국가주의 조직인 우스타세 운동의 창시자인 발칸의 도살자 안테 바벨리치 어린 시절 안테 파벨리치는 1889년 7월 14일 당시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현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의 일부였던 브라디나 마을에서 태어났다. 자그레브 대학교에서 법학을 공부한 후 변호사와 저널리스트로 활동했고 이후 프랑코푸치에 입당하며 정치를 시작한다. 우스타샤 파벨리치는 1930년대 초에 우스타샤 운동을 창설했다. 우스타샤는 파시즘과 가톨릭을 결합한 사이비 종교였으며 유고슬라비아와 분리된 크로아티아 독립 국가 건설을 주장하며 민족주의, 파시즘, 인종주의 이데올로기를 혼합한 이념을 지지했다. 이 종교는 유대인과 세르비아인 수십만명을 학살하는데 사용되었다. 권.. 2023. 9. 30. 왕없는 왕국의 섭정 포르티 미클로시 미클로스 호르티 데 나기바냐는 미클로스 호르티라고 불리는 헝가리의 제독이자 정치인으로 1920년부터 1944년까지 헝가리 왕국의 섭정을 역임한 독재자이다 초기 생애 호르티는 1868년 6월 18일 당시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의 일부였던 헝가리 켄데레스에서 태어났다. 그는 오스트리아-헝가리 해군 사관학교에 입학한 후 오스트리아-헝가리 해군에서 복무하며 군인으로서의 경력을 쌓았다. 제1차 세계대전 제1차 세계대전 중 호티는 오스트리아-헝가리 해군에서 전함을 지휘하며 뛰어난 해군 기술로 두각을 나타냈다. 그는 전쟁 중 공로를 인정받아 여러 차례 군사 훈장을 받았다. 헝가리 리젠시 제1차 세계대전 후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은 해체되고 헝가리는 독립 국가로 부상했다. 이때 헝가리는 내륙국이 되었고 호르티는 바다없.. 2023. 9. 29. 스페인의 독재자 프란시스코 프랑코 스페인 내전으로 권력을 획득해 39년 1개월 19일동안 스페인을 통치한 독재자 프란시스코 프랑코 초기 생애와 군 경력 프란시스코 프랑코는 1892년 12월 4일 스페인 갈리시아 지방의 해안 도시 페롤에서 태어났다. 군인 집안 출신인 그의 아버지 니콜라스 프랑코는 스페인 해군 장교였다. 프랑코의 형과 동생 모두 군인으로 살았다. 프랑코는 아버지의 뒤를 이어 톨레도에 있는 보병 사관학교에 입학하여 군사 훈련을 받아 군인으로써의 삶을 시작한다. 이른 군 복무 스페인 육군 중위로 군 생활을 시작한 프랑코는 스페인-모로코 전쟁(일명 리프 전쟁)을 비롯한 다양한 전선에 참전했다. 그는 리더십 능력은 인정받았고 명성을 얻으며 빠르게 계급이 상승해 1917년 소령으로 진급하였고 1923년 중령 1924년 대령 그리고 .. 2023. 9. 27. 이전 1 2 3 다음 반응형